하나님이 기뻐 받으시는 예배 (창 4:1-15)
아담과 하와의 가정에 두 아들 가인과 아벨이 태어났습니다. 형 가인은 땅을 일구는 농사꾼으로, 아벨은 양치는 목자로 살았습니다. 시간이 흘러 하나님께 제사를 드릴 때가 되었을 때, 가인은 땅에서 거둔 곡물을 제물로 드렸고, 아벨도 자기가 기르던 양의 첫 새끼를 잡아 제물로 드렸습니다.
-- 공교롭게도 하나님께서는 동생 아벨의 제사는 받으셨으나, 형 가인의 제사는 받지 않으셨습니다.
-- 결국 형 가인은 동생 아벨을 들판으로 유인하여 죽입니다.
-- 하나님이 제사를 받지 않으셨는데도, 가인은 하나님께는 아무 소리도 하지 못하고 만만한 동생에게 화풀이를 하고 말았습니다.
하나님이 왜 가인의 예배는 받지 않으셨을까요?
오늘 본문 3-5절을 보면, 아벨은 “양의 첫 새끼와 그 기름”으로 제사를 드렸지만,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드렸다’라는 표현뿐 어디에도 “첫 곡물”이라든지, “그 해의 햇곡식”과 같은 표현이 없습니다.
-- 이 말은 가인이 하나님께 드릴 뭔가를 구별한 흔적이 없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하나님이 “아벨과 그의 제물은” 받으시고, “가인과 그의 제물은” 받지 않으셨다고 하신 말씀을 보면, 하나님께서는 제물만을 원하신 게 아니라, “제사를 드리는 사람”도 중요하게 보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히 11:4)라는 말씀을 볼 때, 아벨은 형 가인보다 더 나은 믿음의 제사를 드렸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형 가인의 믿음에는 문제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나에게 문제와 사건이 일어날 때, 하나님과의 관계를 묵상하면서 자신을 먼저 돌아봅니까, 아니면 당장 일어난 일에 화를 내면서 상대방과의 관계를 묵상하고 맙니까?
분노에 차서 안색이 변한 가인에게 하나님께서는 “죄를 다스릴지니라”(7)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은 오늘 나에게도 내 속에 죄의 욕망이 있음을 아시고, 그 죄를 다스리라고 하십니다.
내 죄를 다스리는 비결은 적극적으로 선을 행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선을 행하는 것”이란 날마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자신을 돌아보고, 예수의 향기를 드러내는 삶을 의미합니다.
오늘도 믿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삶을 하나님께 드리는 하루가 되도록 합시다.
남 탓하기보다는 내 안의 죄를 먼저 들여다보고 회개하는 하루가 되도록 합시다.
'큐티 묵상 나눔(신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월 18일(화) 큐티 묵상 (0) | 2022.01.17 |
---|---|
22년 1월 13일(목) 큐티 묵상 (0) | 2022.01.13 |
22년 1월 11일(화) 큐티 묵상 (0) | 2022.01.11 |
22년 1월 10일(월) 큐티 묵상 (0) | 2022.01.10 |
22년 1월 7일(금) 큐티 묵상 (0) | 2022.01.07 |
댓글